중이 절 보기 싫으면 떠나야지 뜻
발음:
어떤 곳이나 대상이 싫어지면 싫은 그 사람이 떠나야 한다는 말.
- 절: I 절1 [명사]《불교》 중들이 불상을 모셔 놓고 불도를 닦으며 교법을 펴는 곳. = 범찰(梵刹). 불가2 (佛家)2. 불사5 (佛寺). 불찰2 (佛刹). 사사. 사우. 사찰1 (寺刹). 산문1 (山門)2. 선궁2 (禪宮). 승원(僧院/僧園)1. 정궁. 정사9 (精舍). 총림(叢林)2.I I 절2 [명사]몸을 굽혀 경의를 나타내는 인사. 공경하는 정도나
- 야지: I 야지【野地】 [야:-][명사]들이 많거나 넓은 고장.I I -야지[어미]('ㅏ/ㅓ' 따위로 끝나는 어간 아래에서) '-아야지/-어야지'의 '아/어'가 탈락된 꼴.* 이~.*서~.*해~.
- 중이: 중이【中耳】[명사]《생물학/생리학》 = 가운뎃귀.
- 으면: -으면[어미]〔자음으로 끝나는 어간 따위에 붙어, 가정이나 조건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의 하나.〕1 가정적 조건을 나타냄.* 내일 날씨가 좋~ 떠나겠다.2 어떤 사실을 조건적으로 말함을 나타냄.* 자꾸 읽~ 알게 된다.*보았~ 말해 봐.*산이 높~ 골이 깊다.3 바라는 바를 조건적으로 말함을 나타냄.* 물이 맑~ 좋겠다.*그가 왔~ 했는데.*[참고] -면.
- 보기: I 보기1 [명사]1 '본보기'의 준말.2 구체적으로 들어 보이는 대표적인 사물.* ~를 들어 설명하다.*= 예4 (例)4.I I 보기2 【步騎】 [보:-][명사]보병과 기병.I I I 보기3 【補氣】 [보:-][명사]1 《생물학/생리학》 사람이 숨을 쉴 때 최대한도로 들이마실 수 있는 공기의 양.2 《한의학》 약을 먹어서 원기를 돋움. = 보원1 (補
- 제한 절: 제한 조항; 제한적 관계사절
- 가야지: 가야지[명사] 버들개지.
- 라야지: -라야지[어미]('-라야 하지'의 준말로)1 어떤 사실을 조건적으로 강조함을 나타내는 반말의 서술형 또는 의문형 종결어미.* 좋은 것이~.*가짜가 아니~.*어떤 것~?2 어떤 정도를 강조할 때 쓰이는 반말투의 서술형 종결어미.* 보석이라도 여간 비싼 것~.*[참고] -아야지.*-어야지.
- 아야지: -아야지[어미]('-아야 하지'의 준말로)1 어떤 사실을 조건적으로 강조함을 나타내는 반말의 서술형 또는 의문형 종결어미.* 실제로 가서 보~.*너도 가 보~?2 어떤 정도를 강조할 때 쓰이는 반말투의 서술형 종결어미.* 작아도 여간 작~.*[참고] -어야지.
- 어야지: -어야지[어미]('-어야 하지'의 준말로)1 어떤 사실을 조건적으로 강조함을 나타내는 반말의 서술형 또는 의문형 종결어미.* 어른의 말씀을 들~.*실력이 있는 사람이~.2 어떤 정도를 강조할 때 쓰이는 반말투의 서술형 종결어미.* 넓어도 여간 넓~.*[참고] -아야지.
- 떠나다: I 떠나다1 [자동사]1 (다른 곳으로) 자리를 떠서 가다.* 서울로 ~.*그는 한 시간 먼저 떠났다.*= 발하다1 (發-)3.2 없어지거나 사라지다.* 늘 떠나지 않는 고향 생각.*그는 이미 일에 마음이 떠나 있었다.I I 떠나다2 [타동사]1 있던 자리나 곳을 뜨다.* 고향을 ~.2 어떤 일을 하러 나서다.* 낚시를 ~.*여행을 ~.3 어떤 길을 통
- 어중이: 어중-이 [어:-][명사]어중되어 변변찮은 사람.
- 전중이: 전중-이[명사]▷ 징역꾼(懲役-).
- 중이염: 중이-염【中耳炎】[명사]《의학》 가운뎃귀에 생기는 염증. 급성과 만성이 있는데, 열이 오르고 심한 고통이 따르며 귀울음 따위가 일어난다. [참고] 내이염.
- 중이층: 무대 밑